현쓰월드

2018.3.18. [영화] 사랑에 대한 모든것(2014) 본문

생활

2018.3.18. [영화] 사랑에 대한 모든것(2014)

道法 2018. 3. 18. 14:46




- 이론? 사랑? 

아인슈타인 이래로 가장 유명한 과학자,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의 타계로 그의 삶을 다룬 영화 및 그의 저서인 책 (A Brief History of Time)이 주목 받고 있다. 그의 삶이 궁금하여, 먼저 영화를 보게 되었다. 첫번째로 영화의 한국 제목과 영어 제목의 차이에서 궁금증이 생겼다. 영어 원제는 The theory of everything 이다. 영화를 보면 알겠지만, 혹은 영화의 장르인 로맨스 그리고 포스터를 보면 왜 Theory 가 사랑으로 번역 되었는지 알게 될 것 이다. 


- 삶, 노력 그리고 희망

이전에 논산훈련소에서 훈련을 받을 때, 스티븐 호킹에 관한 동영상을 보게 되었다. 그 목적은 분명 스티븐 호킹 박사의 일화를 통해 어떤 고난과 역경이 있더라도 삶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본받게하기 위함이였다. 이번 영화를 통해서도 이러한 느낌을 많이 받았다. 특히 루게릭병으로 인한 죽음까지 2년의 시간을 판정 받았을때, 마음을 추스려 주어진 시간안에 무엇보다도 자신의 일인, 박사 연구를 마무리하려는 연구에 관한 열정은 감명 깊었다. 영화를 보는 도중 내가 만약 이와 같은 환경에 처했다면... 이라는 생각을 수도 없이 했다.  이과 관련된 영화에서의 명대사를 소개하고 싶다. "There should be no boundary to human endeavor. However bad life may seem, where there is life, there is hope (사람의 노력에 한계는 없습니다. 삶이 비록 힘들지라도 생명이 있는 한 희망도 있습니다. ) "


- 사랑과 봉사 대(이해 (Love and Service vs. Understanding)

스티븐은 루게릭병으로 박사학위를 받기 전부터 서서히 운동장애를 겪게 된다. 점차 다리, 손을 쓰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누군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면 연구는 물론 일상생활도 할 수 없게 된다. 휠체어에 타고 그의 육성이 아닌 기계음성이 들리는 장면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그는 뛰어난 업적으로 명성을 얻을 수 있었을까 ? 그의 곁에는 그의 와이프 Jane 이 있었다. 

스티븐 호킹의 위대한 업적은 과연 그의 와이프인 제인이 없었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 영화를 통해 Jane 의 역할로 인해 호킹의 삶과 그의 업적이 가능 할 수 있었구나! 라고 느낄 수 있다. 사랑은 참으로 대단하다. Jane 은 호킹의 병을 알고도 결혼을 결심하고 그를 사랑하고 긴 시간을 봉사했다. 그녀가 있었기에 그가 있을 수 있었다. 

여기까지는 무난하게 아름답다. 재밌는 부분은 영화 도중에 조나단(남자)이라는 인물로 부터 시작된다. 스티븐과 제인 사이에는 아이가 둘이 있다. 즉, 스티븐 뿐만 아니라 아이 둘을 제인이 보살펴야 했다. 평범한 생활이 힘들었던  제인은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스티븐에게 다른 누군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제안 그리고 부탁했다. 교회를 통해 알게된 조나단이 가족을 위해 봉사하게 되었고, 어느새 제인과 조나단은 사랑에 빠지게 된다. 영화는 이를 나름 아름답게 그렸다. 물론 스티븐도 두번째 와이프를 맞이하게 되었고, 스티븐과 제인은 좋은 친구로 남았다고 한다. 하지만, 먼저 있었던 제인과 조나단의 관계는 엄밀히 말하면 불륜이다. 우리나라의 정서로 볼때 제인은 불륜녀이다. 단어가 참 불순하게 느껴지지만, 제인을 나쁘다고 할 수 있을까 ? 이런 상황 또한 내가 스티븐 이라면 ? 이라는 생각을 많이 해 보았다. 가슴이 찢어질 것만 같다. 하지만... 스티븐을 위해 어마어마한 봉사를 한 그녀다. 스티븐이 물리적으로 더이상 그녀의 도움이 필요 없는 상황이라면, 그녀에게도 남은 삶은 평범하게 살 수 있도록 스티븐이 마음적 봉사(이해)를 해야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생각으로 그녀를 보내주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 마지막으로...

사실 마지막으로 스티븐의 업적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지만, 그의 업적을 이야기할 정도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아 보다 나은 정보를 제공하겠다. (이것 보고 나도 공부를 좀 해야지... "A Brief History of Time"책을 읽기 전에 하기 링크의 강의를 먼저 봐두면 많은 도움이 될 듯!)



혹은 간단한 그의 업적을 보고 싶다면 이 글을 참조 (링크)!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2018.3.18. 道法











Comments